메뉴 건너뛰기

기사/뉴스 ‘이 사람들’이 서울 집값 밀어올렸다…“고향 사랑하지만 똘똘한 한채는 강남”
4,461 2
2024.05.16 08:45
4,461 2

상경족들 서울아파트 ‘갭투’ 늘어
대부분 실거주의무 없어 비과세

 

강남3구·용산 조정지역 이더라도
‘상생임대제도’로 실거주 피해

 

올해 초 부산에 거주하는 김모씨는 부산 아파트를 정리하고 서울 마포 아파트를 전세 끼고 매수했다. 김씨는 “제 고향을 아끼지만 지방은 인구유출이 정말 심각하다. 전세 살기는 불편하지만 부동산은 앞으로도 서울만 제일 안전할것 같아 어쩔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했다.

 

인구 소멸 직격탄을 맞은 지방 사람들의 서울 아파트 매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전반으로 저출생과 초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인구감소세가 가파른 지방에서 부동산 심리가 위축되며 서울로 투자 수요가 향하고 있다.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면서 서울에 거주하지 않아도 ‘비과세’ 혜택을 받는것도 지방 수요가 서울로 쏠리게 된 배경이다. 각종 보유세와 취득세 중과를 피해 ‘똘똘한 한채’를 선택해야 한다면 서울이 가장 안전하다는 판단이다. 문제는 이런 인식이 지방 사람들 사이에서 확산하면서 서울 부동산 상승세는 가팔라지고 지방 하락은 거세지는 양극화가 심화된다는 점이다.

 

대구에 거주하는 이모씨도 서울 동작구 아파트를 전세 안고 계약했다. 이 씨는 “(대학 때문에) 애들을 서울로 보내보니 월세나 생활비 등 100만원 넘게 들더라. 한명 더 서울로 보낼 계획이라 앞으로를 생각해 서울로 갈아타는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15일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 외지인 매입비율은 올 1월 22.96%, 2월 23.3%, 3월 22.54%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외지인 매입 비율은 지난해 크게 늘었다. 지난 2006~2017년까지는 15~18% 수준이었다. 집값 상승이 본격화한 2018년 처음 20%를 돌파했고 2019년 21.9%, 2020년 22.2%로 늘어나다가 2021년 20.3%로 낮아졌다. 그러나 부동산 하락이 본격화된 2022년 22.3%로 다시 늘고 지난해는 24.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즉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한 4명 중 1명은 서울외 거주자였다. 올해도 이같은 추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반면 지방은 침체의 골이 더 깊어졌다. 지난 1년간(2023년 3월~2024년 2월)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실거래지수는 서울이 149.5에서 158.3으로 올랐지만, 부산은 105.9에서 104.9, 광주는 126.6에서 125.3, 대구는 101.9에서 101.7 등으로 지방 하락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지방 아파트 매수세는 급감하고, 서울 아파트 매수세가 증가하니 지방과 서울 양극화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에 ‘거주하지 않아도’ 1가구 비과세 특례를 받을 수 있는 점도 지방 수요가 서울로 원정 오게 하는 요인이다. 아직 조정지역으로 남아있는 강남3구와 용산구는 1가구 1주택자 비과세를 받으려면 2년 이상 주택 ‘보유’에 2년 ‘실거주’ 요건이 추가로 붙는다. 그러나 ‘상생임대’를 활용하면 거주하지 않아도 된다. 상생임대정책은 임대차시장 안정을 위해 2022년 6월 확대 도입됐다. 임대료 상승을 5% 이내로 제한한 착한 임대인에게 비과세 요건을 완화해주는 제도다. 올해 12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제도다. 이 요건을 지키면 조정지역에서도 아파트를 취득한 1가구1주택자가 2년까지 살지 않아도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다.

 

강남3구와 용산외 서울 지역은 비조정지역이 되면서 거주하지 않아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지난해 1월 5일부터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 규제를 해제했다. 2년 거주하지 않아도 1가구1주택자는 12억원까지 양도세 비과세를 적용받는다.

 

-생략

 

전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303879

목록 스크랩 (0)
댓글 2
댓글 더 보기
새 댓글 확인하기

번호 카테고리 제목 날짜 조회
이벤트 공지 [🎬영화이벤트] 당신의 운명을 뒤집어보시겠습니까? 영화 <타로>예매권 증정 이벤트 193 06.03 20,946
공지 공지접기 기능 개선안내 [📢4월 1일 부로 공지 접힘 기능의 공지 읽음 여부 저장방식이 변경되어서 새로 읽어줘야 접힙니다.📢] 23.11.01 4,154,730
공지 비밀번호 초기화 관련 안내 23.06.25 4,857,532
공지 ◤더쿠 이용 규칙◢ 20.04.29 21,326,369
공지 성별관련 공지 (언급금지단어 필수!! 확인) 16.05.21 22,500,286
공지 정보 더쿠 모바일에서 유튜브 링크 올릴때 주의할 점 746 21.08.23 3,773,382
공지 정보 나는 더쿠에서 움짤을 한 번이라도 올려본 적이 있다 🙋‍♀️ 221 20.09.29 2,635,122
공지 팁/유용/추천 더쿠에 쉽게 동영상을 올려보자 ! 3377 20.05.17 3,340,665
공지 팁/유용/추천 슬기로운 더쿠생활 : 더쿠 이용팁 3962 20.04.30 3,907,208
공지 팁/유용/추천 스퀘어 공지 (스퀘어 저격판 사용 무통보 차단 주의) 1236 18.08.31 8,289,095
모든 공지 확인하기()
2426291 이슈 [선재업고튀어] 두 달 동안 안방의 월요일을 책임진 선업튀즈의 마지막 소감 5 20:32 393
2426290 유머 국비지원 코딩학원 다니는 느낌 6 20:31 1,440
2426289 이슈 소형견 목줄 풀었다가 자전거와 충돌...자전거 운전자 숨져 3 20:31 419
2426288 기사/뉴스 이번에는 '카드뮴'…알리 직구 '법랑그릇'서 기준치 4배 초과 검출 1 20:30 302
2426287 기사/뉴스 김건희 석사논문 표절 의혹 "60쪽 논문검증에 3년 걸릴 판" 숙대총장 연임 시도에 '발칵' 5 20:30 302
2426286 기사/뉴스 ‘이 냄새’ 맡으면 성생활에 도움? 20:30 367
2426285 유머 상가집 처음 가본 여대생들.gif 7 20:30 1,048
2426284 유머 1,2위가 존재감 약한 KBO리그 14 20:30 940
2426283 이슈 현재 일본에서 매출 대박난 게임.jpg 7 20:28 1,547
2426282 기사/뉴스 [채상병 사망사고 관련] "한 번도 전화한 적 없다"더니 10여 차례 통화 10 20:26 526
2426281 이슈 넥스지 챌린지하는 제왑 식구들 4 20:25 340
2426280 팁/유용/추천 주파수의 이름은 에프엑스 3 20:25 367
2426279 이슈 도입이 시급한 법.jpg 25 20:23 1,852
2426278 이슈 강한 전사, 육군! 발표경연대회 방탄소년단 제이홉 영상 6 20:22 522
2426277 유머 매드맥스 퓨리오사 한 방 영업함 10 20:21 1,006
2426276 유머 이재X 김건희 윤석X 8 20:20 1,405
2426275 이슈 [선업튀] 비주얼 장신 그룹 이클립스... 11 20:20 1,118
2426274 이슈 고데기로 머리 볶은 육성재🐶.jpg 3 20:20 652
2426273 이슈 더쿠 이용자의 반은 모를거 같은 지식 11 20:20 1,748
2426272 유머 고양이4 강아지1 모에화인 여돌.jpg 8 20:19 1,019